오늘은 용접작업 중 발생한 화재사고와 관련하여 현장에서 유념 하셔야 할 사항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국가화재 정보시스템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용접 작업중에 발생한 화재사고 발생건수는 총5,829건으로 이로 인한 인명피해는 총444명 이나 발생했다고 합니다.
화재사고는 장마철인 여름을 제외하고 매월 486건 정도가 발생하고 있어, 용접관련 화재사고도 작업현장에서 꾸준히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용접관련 화재는 작업이 많은 공장과 창고 등 산업시설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고, 이외, 건물 리모델링 등으로 인해 주거시설인 주택이나 아파트, 판매, 업무시설인백화점이나 호텔에서도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용접관련 화재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먼저 용접을 하기 전에 반드시 작업장소가 안전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도색공사 등으로 인화성 물질을 취급하거나 저장하는 곳은 피해야 합니다.
아울러, 불이 붙기 쉬운 가연성 바닥제로 마감된 장소에서 작업할 경우에는 미리 물을 뿌려 바닥을 적셔 주어야 하며, 물을 뿌리기 어려우면 모래 등으로 화재를 미연에 방지하여야 합니다.
특히 용접작업자는 반드시 반경 5미터 이내에 소화기를 비치하고 작업을 하는 것이 중요하며, 용접작업을 하기 전에는 관련규정인 소방기본법에 따라 작업장소가 안전한 장소인지 등을 확인하고 규정된 안전수칙을 잘 지켜 화재를 미연에 방지하여야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언론보도된 경기 이천 물류센터 화재사고 처럼 용접작업자의 과실로 인하여 대형 화재가 발생하였다면, 연소피해자의 입장에서는 통상 피해보상을 위하여 사고 현장에서 용접작업을 한 용접작업자 및 그의 사용인을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하게 됩니다.
이러한 경우, 연소피해자는 피고측과 용접작업자 및 그의 사용자의 과실 유무 및 입증방법 등과 관련하여 첨예한 법률다툼이 예상되므로, 신속히 화재 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아서 사전에 유리한 증거자료나 증인을 확보하는 등 소송에 적극대응 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판단됩니다.
저희 법무법인 화인 "건설화재 보험금 분쟁 연구원"에서는 용접관련 화재사고시 신속한 현장조사, 화재감식, 국과수 감정서 등을 근거로 화재 원인을 철저히 규명하여, 사회적 경제적 약자인 피해자가 갑작스러운 화재사고로 조금이라도 경제적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피해자의 편에 서서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오늘은 용접작업 중 발생한 화재사고와 관련하여 현장에서 유념 하셔야 할 사항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국가화재 정보시스템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용접 작업중에 발생한 화재사고 발생건수는 총5,829건으로 이로 인한 인명피해는 총444명 이나 발생했다고 합니다.
화재사고는 장마철인 여름을 제외하고 매월 486건 정도가 발생하고 있어, 용접관련 화재사고도 작업현장에서 꾸준히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용접관련 화재는 작업이 많은 공장과 창고 등 산업시설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고, 이외, 건물 리모델링 등으로 인해 주거시설인 주택이나 아파트, 판매, 업무시설인백화점이나 호텔에서도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용접관련 화재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먼저 용접을 하기 전에 반드시 작업장소가 안전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도색공사 등으로 인화성 물질을 취급하거나 저장하는 곳은 피해야 합니다.
아울러, 불이 붙기 쉬운 가연성 바닥제로 마감된 장소에서 작업할 경우에는 미리 물을 뿌려 바닥을 적셔 주어야 하며, 물을 뿌리기 어려우면 모래 등으로 화재를 미연에 방지하여야 합니다.
특히 용접작업자는 반드시 반경 5미터 이내에 소화기를 비치하고 작업을 하는 것이 중요하며, 용접작업을 하기 전에는 관련규정인 소방기본법에 따라 작업장소가 안전한 장소인지 등을 확인하고 규정된 안전수칙을 잘 지켜 화재를 미연에 방지하여야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언론보도된 경기 이천 물류센터 화재사고 처럼 용접작업자의 과실로 인하여 대형 화재가 발생하였다면, 연소피해자의 입장에서는 통상 피해보상을 위하여 사고 현장에서 용접작업을 한 용접작업자 및 그의 사용인을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하게 됩니다.
이러한 경우, 연소피해자는 피고측과 용접작업자 및 그의 사용자의 과실 유무 및 입증방법 등과 관련하여 첨예한 법률다툼이 예상되므로, 신속히 화재 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아서 사전에 유리한 증거자료나 증인을 확보하는 등 소송에 적극대응 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판단됩니다.
저희 법무법인 화인 "건설화재 보험금 분쟁 연구원"에서는 용접관련 화재사고시 신속한 현장조사, 화재감식, 국과수 감정서 등을 근거로 화재 원인을 철저히 규명하여, 사회적 경제적 약자인 피해자가 갑작스러운 화재사고로 조금이라도 경제적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피해자의 편에 서서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